1599-6272

세계공인탐정연맹! 국내 최대 탐정협의체!

하나로! 세계로! 미래로! PIA탐정사관학교!

민간조사학 개론(김종식교수)
교육팀장 2377 2010-05-26
저자소개 저자 김종식 현 ∙한국특수행정학회(한국학술진흥재단등록) 민간조사 지도교수. 현 ∙동국대학교 사회교육원 민간조사 최고위과정 지도교수. 현 ∙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민간조사 최고위과정 지도교수. 현 ∙대한민간조사협회 수석부회장. 현 ∙한국산업교육원 경호학교수. 현 ∙경기대학교 사회교육원(민간경비 지도교수). 전 ∙경찰종합학교 및 초급간부과정졸업(경찰종합학교장상 수상). 전 ∙대통령경호실(101단)근무. 전 ∙경찰정보전문화과정 수석 수료(경찰종합학교장상 수상). 전 ∙용인조사계장 및 정보과계장 등 역임(경감). 전 ∙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최고정책연구과정 수료. 전 ∙(주)CNS 정보센터 경위?경감승진과정 경찰실무 전임 . 전 ∙서울고시학원(노량진), 이그잼, 서울경찰학원, 한교고시학원(청주) 등 경찰학 전임. 전 ∙한세대학교 등 다수 대학 경찰학 특강. 전 ∙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PIA과정 수료. 전 ∙국가경찰학원(종로, 대방, 부평, 수원)경찰학 대표교수. 저서로는 ∙Hi-경호학(예응). ∙One-stop 경찰학개론(미래가치). ∙One-stop 경호학(범론사). ∙선거․현실적 접근(이그잼). ∙경찰학개론(서울고시각) 이 있다. 수상내역으로 내무, 행자, 노동부장관, 도지사, 경찰청장 등 표창 43회 수상 이 있다. 목차제1편 민간조사학 총론 01민간조사론 1. 민간조사학의 학문적 접근_29 2. 민간조사의 정의_30 3. 민간조사제도 도입의 필요성_32 4. 공조사와 민간조사제도의 구분_35 5. 한국의 민간조사제도_36 6. 민간조사제도의 입법추진_39 7. 각국의 민간조사(탐정)제도 발달과정_45 8. 당사자주의와 민간조사의 발달_50 9. 민간조사와 법치주의(法治主義)_52 10. 민간조사와 기본권_56 11. 불심검문과 민간조사_58 12. 민간조사와 현행범_62 13. 민간조사와 법원(法源)_64 14. 민간조사와 조리(條理)_67 15. 민간조사자의 권리·의무와 결격사유_68 16. 민간경비와 민간조사의 성장관련 이론 17. 민간조사와 경찰기관_80 18. 각국 경찰관련 주요제도_85 19. 민간조사자와 전문직업인의 부패이론_86 20. 정보공개제도_88 21. 민간조사와 행정쟁송_92 22. 민간조사활동시 충돌(저촉)될 소지가 큰 15개 법조(法條)_96 23. 민간조사에 대한 불신(반감)을 키운 대표적 사례와 교훈_112 02민간조사활동의 기본론 Ⅰ.정보 1. 정보의 개념_115 2. 첩보수집 활동_124 3. 첩보수집 요령_126 4. 채증활동_132 5. 정보활동의 한계_134 6. 정보활동 관련 시사경제_137 7. 정보활동 관련 사회현상_138 8. 각국의 정보기관_139 Ⅱ.공작 1. 공작의 개념_143 2. 가장(假裝)_144 3. 비밀연락_145 4. 신 호_147 5. 관찰·묘사_147 6. 사전정찰_148 7. 감시의 일반론_149 8. 미 행_151 9. 잠 복_156 Ⅲ. 조사 1. 현장관찰_157 2. 조사첩보수집_161 3. 탐문조사(探問調査)_165 4. 선면조사(選面調査)_169 5. 알리바이(Alibi) 조사_170 6. 실종아동 등 가출인 소재탐지_172 7. 유실물 등 소재탐지_193 8. 지적소유권(知的所有權) 침해조사_197 9. 보험금 부당 청구조사_200 10.문서(필적·인영) 및 사진 감정_205 11. 협박전화와 녹음_208 12. 도·감청 탐색_210 13. 범죄신고자 등 보호 및 보상제도_219 03범죄론 1. 범죄의 개념과 범죄원인론_223 2. 범죄통제와 범죄예방_229 3. 사이코패스와 프로파일링_234 4. 형법상 죄의 성립과 형의 감면_236 5. 형의 종류와 경중_239 04증거론 1. 증거의 의의_241 2. 증거의 종류_242 3. 증명의 기본원칙_246 4. 증거능력(證據能力)과 증명력(證明力)_248 5. 위법수집증거의 증거능력배제_249 6. 위법수집증거의 증거능력여부에 대한 법리_252 7. 전문증거의 증거능력제한_254 8. 전문법칙과 새로운 증거방법_255 제2편 민간조사학 각론 01 수사(搜査)에 대한 기본적 이해 1. 민간조사자가 ‘수사’를 알아야 하는 이유_261 2. 수사의 개관_262 3. 수사의 종결_286 4. 공소시효의 기간_287 02민간조사활동의 응용론 1. 감(鑑)별조사_289 2. 유류품조사(遺留品調査)_292 3. 과학조사(科學調査)와 감식조사(鑑識調査)_294 4. 법의 혈청학(法醫 血淸學)_298 5. 사체현상과 자·타살 구별_300 6. 지문감식_305 7. 유전자 지문_311 8. 화재사건조사_313 9. 심리생리 검사_317 10. 마약류 범죄조사_320 11. 위조·변조 사범조사_329 12. 사이버범죄조사_338 13. 교통사고 조사_344 14. 국제성 범죄와 인터폴_353 15. 민간조사와 테러리즘에 대한 경각심 제고_363 제3편 민간조사와 민사에 대한 기초적 이해 1. 민법통칙(通則)_373 2. 인(人)_374 3. 한정치산과 금치산_375 4. 실종의 선고_377 5. 법인(法人)_377 6. 법률행위_380 7. 소멸시효(消滅時效)_381 8. 친족 등_384 9. 혼인 등_385 부록 지문의 종류 등(자료:경찰청)_389
이전글 PIA 대학원 최고위과정 추적미행 우수보고서(21기 이계두님)
다음글 탐정에 관련된 자격증